반응형

코딩 185

[RN] 개인사이드 프로젝트 1

기존에 개발하다가 때려친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한다. 이걸 왜 하느냐? 그냥, RN으로 어플 하나 만들어서 써보려고. 일단 이전에 날 좌절시킨 이유로 UI를 만들어보기로 했다. Template을 찾아봤는데, 없네..? 왜 그런가 했더니 expo 전용으로 나왔거나 아니면 유료더라. 그래서 찾아봤더니 템플릿이 필요가 없더라. 그냥 UI를 불러서 구성하면 되는 것이었다. 설치해도 왜 안됨? 이러고 있었는데, 설치할 게 없청많더라. 4개를 기본으로 설치해야 작동. 차라리 부트스트랩이 나은 것 같은데 말이지. "react": "17.0.2", "react-native": "0.67.3", "react-native-elements": "3.4.2", "react-native-linear-gradient": "..

[RN]error: internal/modules/cjs/loader.js:883 error Failed to install the app. Make sure you have the Android development environment set up: https://reactnative.dev/docs/environment-setup.

분명 신규프로젝트로 npx react-native init 프로젝트명 이렇게 했는데, 스튜디오에서 작동이 되지 않는다. 왜 그런것인가? 했는데, Desktop 경로인 것에는 한글이 없고, 바탕화면 폴더에서는 한글 경로가 껴버리는 바람에 이런 것이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컴파일될때 한글이나 특수문자가 끼니 해당 문자가 컴파일 경로에서 방해되어 해당 부분이 작동되지 않던 것. 괜히 그래들 버전을 7.2에서 6.7로 변경하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SDK 파일 날리고 뻘짓했었다. https://blog.naver.com/psjin312/222334408580 error: internal/modules/cjs/loader.js:883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Terminal에서 npm start 실행 시..

코딩/React Native 2022.03.06

[뻘글] 미래에셋 페이에 대한 추측

한국은 애플페이가 미지원이라 작동되지 않음을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상황에서 애플측이 nfc 읽기 권한을 풀어버렸다.(쓰기부분만 잠금된 상태). 그런고로 미래에셋페이라는 신기한 방식이 나왔는데, 위에 언급한 대로 nfc를 읽어 결제하는 방식이다. 이게 어떻게 가능한가? 싶었는데, 세븐일레븐의 경우 pos기기에 붙어 있어 nfc 태그에 접촉한 순간. 결제 금액, 업체, 그리고 시간별 인증 변하는 검증해쉬 이런 게 쓰여지는 기기가 POS와 연결되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디야를 보니 그런게 없더라. 그냥 업체에 있는건 nfc 태그뿐이었음. 아마도 거기에 있는 건 토큰과 업체 점포 정보라고 생각함.(한번 정보를 읽어보고 싶긴 하다.) -- 내 예상으로는-- ios 기기가 nfc를 통해 점포 정..

코딩/뻘글 2022.03.05

[GIT] ignore한 파일인데, git pull 에러를 뱉는다. fatal: could not reset index file to revision 'origin/main'.

이전 포스팅에서 git에 파일을 무시하거나 이미 올려놓고 그 이후 변경을 감지 못하게 하는 것에 대하여 posting했었다. 그런데, 이때 나는 이것이 로컬에서만 자유자재로 변경되는 것을 가정한 상태로 적용했던 것인데, git pull 시 remote랑 local에서 다르니 Git이 오류를 뱉는다. (뭐야 왜 안되요? 로컬 달라도 그냥 붙어야 하는거 아니냐? 컨플릭은 되도 그냥 로컬의 변화를 안보고 덮어쓰길 기대하는건데, 왜...안됨?) fatal: could not reset index file to revision 'origin/main'. 위 경우 변경을 감지못하는 파일이 바뀌는 바람에 로컬파일을 덮어쓰기 실패하면서 나오는 오류다. 이럴 경우 진짜 git reset --hard을 해도 안먹힌다. 겨..

코딩/Git 2022.02.28

[Git] 파일 변경 추적 중지하기

회사에서 쓰긴하는데, 그냥 카테고리가 여기있어서 그냥 적는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이상하게 .gitignore에 추가했는데, 파일 추적이 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그때 원인은 cache때문이다. 이때 해결 방안으로 2가지가 있는데, 원본 파일 삭제를 통한 파일추적 중단과 원본 유지와 파일추적 중지다. 원본 파일 삭제 & 파일 추적 중단. git rm --cached file1 이걸 멋모르고 했다가 코드 날라간 적이 있었다... 쉬이불 원본 유지 & 파일추적 중지 git update-index --skip-worktree file1 // 위 건 영구히 추적하지 않음. // 아래 건 변화있으면 풀림. git update-index --assume-unchanged file1 요걸 하면 이제 워킹 트리에..

코딩/Git 2022.02.25

[장고] sql 구문을 사용하지 않는다.

장고는 sql 구문을 사용하지 않아서(스스로 자체에서 컨트롤) 좀 까다롭네. 쿼리 문에 따른 성능적이슈도 없고 잘못된 쿼리로 인한 문제도 없겠지만, sql구문에 익숙한 나에게는 오히려 이게 좀 어색하다... 이것도 뭐 MVC 패턴이라 Model에서 db 컨트롤하는 부분이라 상관은 없는데, db 연결해주려면 config/setting.py(pybo/apps.py 등록)도 건드려야지, pybo/model.py(db 컨트롤 로직 추가)도 건드려야지 python manage.py migrate // 테이블 설치 python manage.py makemigrations // 모델 생성 해당 명령어가 없으면 쿼리는 작동되지 않음. python manage.py sqlmigrate pybo 0001 // 쿼리문 조회..

코딩/Django 2022.02.14

[장고] 배치파일이란?

메모장을 통해 파일의 확장자를 cmd로 설정하고, 이를 win+r sysdm.cpl->고급->환경변수->유저명의 환경변수의 path로 접근 해당 파일의 위치를 저장한다. 그리고나서 cmd의 set path를 하면 해당 cmd 파일의 저장된 명령어가 어디서나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모드로 재접해야 set path가 적용된게 보인다. 어디서나 작동될 수 있게 하는 명령어가 저장된 것을 배치파일이라한다. 보통 프로젝트에서 아주 아주 귀찮은 이동하고 작동 명령어를 미리 저장해서 한 단어로 작동되게 해놓는데, 사용된다. @echo off cd c:/projects/mysite c:/venvs/mysite/scripts/activate

코딩/Django 2022.02.14

[MYSQL] connection error : Error: ER_NOT_SUPPORTED_AUTH_MODE: Client does not support authentication protocol requested by server; consider upgrading MySQL client

원인은 간단하다. mysql 자체에서 plugin이 있는데, 해당 부분이 caching_sha2_password로 저장되어 있기에 그렇다. cmd로 mysql에 접속 후 하단의 문구를 치면 SELECT Host,User,plugin,authentication_string FROM mysql.user; 테이블이 나온다. mysql 자체에서 plugin이 있는데, 해당 부분을 caching_sha2_password에서 mysql_native_password로 바꿔야 하는데, 바꾸는 문장은 이렇다. ALTER USER 'yourusername'@'localhost' IDENTIFIED WITH mysql_native_password BY 'youpassword'; ALTER USER 'apple'@'local..

코딩/SQL 2022.02.12

[SQL] explain을 통한 쿼리 퍼포먼스(성능) 최적화 하기

MySQL을 사용하다보면 이 쿼리문의 성능은 어떻게 측정할까? 라는 의문을 갖고 있었다. 찾아보니 있더라. EXPLAIN을 쿼리문 앞에 달면 SQL에서 타입을 준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들어가면 해당 내용을 주는데, 놀랍게도 내가 만든 코드는 type은 all이었다. 졸라게 느렸다는 말... ㅠ(지금은 그냥 잘 되어도 유저가 늘어나면 나중에 뻗게된다.) 아래의 링크대로 변경하니 index로 떨어졌다. https://marobiana.tistory.com/35 MySql] JOIN 속도를 빠르게! EXPLAIN, STRAIGHT_JOIN 내가 만든 웹페이지중에 엄청나게 속도가 느린 곳이 있었다. 분명 DB에서 SELECT하는데 문제가 있을 것이었다. 문제의 그 쿼리는 3개의 테이블을 JOIN해서 SELEC..

코딩/SQL 2022.02.09
728x90